반응형

근무일수 계산기가 필요할 때가 있는데요. 퇴직금 받을 수 있을지 등 근무일수 확인이 꼭 필요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근무일자 계산기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사람인 근무일수 계산기


    입사일을 입력하면 아주 심플하게 근무일수와 연차일수를 확인해주는 계산기입니다. 

     

    사람인 계산기➡

     

     

    🔻 입사일을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누릅니다. 예시로 1월 12일을 입력해보았습니다. 

     

     

    🔻 아래에서 근무일수와 연차를 간단하게 계산해줍니다. 연차계산기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결과가 1년 3개월 12일로 나오는데요. 날수로 계산할 때는 아래 고용노동부 계산기가 편리합니다. 365일 이런식으로 일수로 결과가 나옵니다. 

     

     


    2. 퇴직금 근무일수 계산기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 시 근무일수와 금액 계산에 특화된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입니다. 

     

     

    퇴직금 1년 기준은?

     

    퇴직금은 1년을 채워야 받을 수 있는데요.

     

    만약 1월 1일에 입사하여 12월 30일까지 일하고 12월 31일에 퇴사하면 365일이 아닌 364일로 퇴직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마지막 근로일이 12월 31일이고 1월 1일이 퇴사일이어야만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월 1일에 입사하여 12월 31일까지 일하고 1월 1일 퇴사 시에는 1월 1일에 발생하는 연차 15개에 대한 미사용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팁) 퇴사는 여유있게!

     

    딱 1년을 채우는 것보다 넉넉하게 근무하는 것이 낫고 주휴수당을 고려했을 때 월요일까지 근무하고 퇴사하는 것이 근무일수가 많이 늘어나므로 금요일까지 근무하고 퇴사하는 것보다 낫습니다. 

     

     

    고용노동부 계산기 

     

    고용노동부 계산기➡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에서 간단하게 근무일수와 퇴직금 금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입사일과 퇴사일을 입력하고 재직일수를 확인합니다. 

     

    ※ 참고로 퇴직일자에는 마지막 근무일이 아닌 마지막 근로일 다음날을 입력해야 합니다. 

     

     

     


    3. 실업급여 근무일수 계산기 (실업급여 조건 자동계산)


    근무일수가 중요한 경우 중 또 하나는 실업급여 수급자격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실업급여 수급자격은 비자발적인 퇴사피보험단위기간이 180일 이상(마지막 근로일 전 1년간 총 합계)이어야 하는데요. 이 180일은 앞서 계산한 근무일수와는 좀 다릅니다.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근무하면 실제 근무일은 180일이지만 실업급여의 180일을 충족하지는 못합니다. 그 이유는 피보험단위기간 180일은 유급인 날의 합계이기 때문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주5일 근무자의 경우 보통 토요일은 휴무, 일요일은 주휴일이라고 이야기했었는데요.

     

    토요일은 무급일이고 일요일은 유급일입니다. 따라서 1주일에 5일을 근무할 경우 고용보험 가입기간으로 포함되는 기간은 주휴일을 포함한 6일이 됩니다. 

     

    따라서 그 외의 무급휴일이 추가되지 않는다는 전제하여 최소한 30주 이상을 근무해야 180일 기준을 충족하게 되는것입니다. 23년 1월 1일에 입사했다면 적어도 7월 30일은 지나야 180일 기준을 충족하게 되는 것이죠. 

     

    아래에서 계산기를 이용해 간단히 계산해보겠습니다. 

     

     

    실업급여기준 계산기

     

     

    🔻입사일과 퇴사일을 입력하고 주당 근무일수를 입력합니다. [계산하기]를 누릅니다. 

     

     

     

    🔻 아래에서 결과를 확인합니다. 

     

    - 재직일자

     

    일반적인 재직일자를 먼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실업급여 기준일

     

    주5일 근무자를 예시로 입력해보았는데요. 

     

    1) 다른 무급휴일이 없고 2) 모든 주마다 주휴일 적용이 되었을 경우 30주(유급 180일, 실제 총 210일, 주5일 기준)가 지난 날짜를 자동으로 계산해줍니다. 

     

    ※ 주의! 이건 아주 최소한의 날짜 기준입니다. 1월 1일 입사자가 적어도 8개월은 근무해야 실업급여 자격이 될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근무일수 계산기를 살펴봤습니다. 계산기를 이용하면 근무일자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어 편리한데요. 퇴직금, 실업급여 등 근무일수 기준이 필요할 때 잘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연차갯수 계산 방법, 연차발생기준 핵심 총정리

    연차갯수 계산 방법과 연차발생기준이 생각보다 헷갈리는데요. 검색을 해도 매번 잊어버려서 다시 검색하게 됩니다. 참고로 연차수당과 세금에 대해서는 지난번에 포스팅했었습니다. 예전과

    akoiscat.tistory.com

     

    근무시간 계산기, 근무일수, 근로시간 계산방법 모아보기!

    > 근무시간 계산기, 근무일수, 근로시간 계산방법 모아보기! 출근, 퇴근 시간/ 휴게시간, 점심시간 등에 따라 근무시간을 계산해주는 근무시간 계산기와 입사일에 따라 근무일수를 계산해주는

    akoiscat.tistory.com

     

    통상임금 계산기, 계산법과 식대, 상여금 포함여부 알아보기

    통상임금 계산기, 계산법이 필요한 이유는 각종 법정 수당 계산 시 통상임금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휴일 근로수당, 시간외 근로수당 등 계산 시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간혹

    akoiscat.tistory.com

     

    2023 연봉별 실수령액 표, 계산기, 연봉 5000 이면 얼마?

    > 2023 연봉별 실수령액 표, 계산기, 연봉 5000 이면 얼마? 2023년 월급 실수령액이 조정되었는데요. 건강보험액이 23년초 오르면서 조정되었고, 고용보험은 22년 7월에 올랐습니다. 월급에 대한 소득

    akoiscat.tistory.com

     

    그리드형

    + Recent posts